-
목차
“퇴사하려고 하는데, 퇴직금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”
“1년 안 채웠는데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?”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퇴직금.
하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
✔ 정확한 지급 기준
✔ 계산 방식
✔ 세금 공제
✔ 연차수당 포함 여부
를 잘 모르고 계세요.이 글에서는 퇴직금 지급 기준을 중심으로, 퇴사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
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1. 퇴직금이란? 개념과 지급 원칙
퇴직금은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퇴직할 때
사용자가 지급하는 일종의 후불 임금입니다.📌 관련 법: 「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」
📌 퇴직금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.단 1일이라도 정식 고용되었다면 퇴직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단, 아래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.
2. 퇴직금 지급 기준은?
항목 기준 내용 지급 조건 1년 이상 계속 근무 + 주 15시간 이상 근로 지급 대상 정규직, 계약직, 기간제, 파트타임(조건 충족 시) 지급 시점 퇴사 후 14일 이내 지급해야 함 근속 기간 산정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 + 연차, 병가, 출산휴가 등 유급휴가 포함 📌 인턴, 아르바이트, 계약직도 주 15시간 이상 & 1년 이상이면 대상입니다!
3. 퇴직금 계산 방법 (2025년 기준)
퇴직금 계산 공식: 1일 평균임금 × 30일 × 근속연수
항목 설명 평균임금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급여 ÷ 총 일수 근속연수 1년 이상 근속한 연수 (365일 단위) 예시 계산 월급 300만원 기준 → 평균임금 약 100,000원 → 100,000 × 30 × 3년 = 9,000,000원 💡 월급이 아닌 일당제, 시급제도 동일 공식 적용됩니다.
4. 퇴직금과 세금: 과세 기준과 처리 방법
퇴직금은 **근로소득이 아닌 ‘퇴직소득’**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세율로 분리과세 됩니다.
- 일정 금액까지 퇴직소득공제 적용
-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, 고액 퇴직자일수록 세금 많음
- 퇴직금 총액이 많지 않다면 세금은 크지 않음 (보통 3~6%)
📌 국세청 홈택스나 회사에서 제공하는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 확인 필요!
5. 연차수당은 퇴직금에 포함될까?
NO! 퇴직금과 연차수당은 별개 항목입니다.
항목 특징 연차수당 사용하지 않은 연차를 ‘현금 보상’한 것 퇴직금 근속 연수에 따라 지급되는 후불 임금 지급 시점 퇴직 시 ‘연차수당 + 퇴직금’ 별도로 정산됨 📌 퇴사 전 연차를 소진하지 못했다면, 회사에서 연차수당으로 정산해줘야 합니다.
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1년 근무했는데, 며칠 모자라요. 퇴직금 못 받나요?
A. 안타깝지만 1년 미만 근속자는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.
단, 1년 당일 퇴사 or 하루 지나면 가능합니다.Q. 육아휴직 기간도 근속기간에 포함되나요?
A. 네. 육아휴직, 출산휴가 등 법정 유급휴가는 근속기간에 포함됩니다.
Q. 퇴직금 받았는데, 예상보다 너무 적어요.
A. 평균임금 계산 방식, 근속연수 산정, 연차 포함 여부 등
꼼꼼히 따져보셔야 하며, 노무상담을 통해 검토 가능합니다.Q. 회사가 14일 안에 퇴직금을 안 줬어요.
A. 법 위반입니다. 고용노동부에 체불임금 진정 가능합니다.
※ 3년 이내 신청 가능
결론: 퇴사 전 퇴직금 체크는 선택 아닌 필수!
✔ 퇴직금은 내 권리
✔ 기준만 알면 혼자서도 계산 가능
✔ 연차수당·세금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손해 없음“퇴사하면서 뒤끝 없이 잘 정리하려면, 퇴직금 기준은 꼭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.”
'전문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폭행·사고로 다쳤다면? 형사소송 vs 민사소송 차이와 절차 총정리 (0) 2025.05.05 일반상해사고, 어디까지 보장될까? 상해보험·소송·대응법 총정리 (0) 2025.05.05 노무상담 자주 묻는 질문 및 상담 사례와 카카오톡 무료노무상담 방법 (0) 2025.05.04 노무상담, 언제 필요할까?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노무사의 역할과 상담 방법 (0) 2025.05.04 에어컨 청소 교육, 자격부터 취업 활용까지 한눈에 정리! (0) 2025.04.24